제사 지내는 순서시간날짜음식, 지방 쓰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 지내는 순서시간날짜음식, 지방 쓰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우리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과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고, 선조들을 위한 제사를 지낸다. 명절 차례와 제사에 필수적인 제사 지내는 순서와 날짜,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의 위치, 제사음식 차리는 법, 지방 쓰는 법과 절하는 법 등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사 음식을 제수라 부르며 제수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각양각색입니다. 다수가 차리는 제사 음식을 갖고 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나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 등을 신위라고 부른다.

제수에는 신위 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아닌 것이 있습니다. 제사는 조상을 한 분만 모실 수도 있지만, 두 분 이상을 함께 모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편적인 상차림에 비유하면 개인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것입니다.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를 가가례라고 할 정도로 제사를 지내는 방법은 집안마다. 다릅니다. 어떤 집은 제사 음식을 미리 차려두고 절차를 진행하기도 하고, 어떤 집은 찬 음식은 미리 차리고 후에 뜨거운 음식국, 고기, 생선, 국, 떡 등을 내오기도 합니다. 밥뚜껑을 여는 시점도술을 다. 올리고 열기도 하고 술을 올리면서 여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자가 네 번 절하기도 하지만, 남자와 같이 두 번 절하기도 하고, 아예 여자가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집안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방식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제사 지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면, 집안의 어른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체적인 제사의 방법을 소개하며, 평소 집안에서 지내는 방법과 다를 경우에는 집안의 방법을 따르기를 권합니다.

젯메반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첫번째 줄에는 신위 앞에 밥메, 국갱, 숭늉숙수을 진설하고, 잔을 놓는다. 밥, 국, 숭늉, 수저 등은 조상의 수만큼 올려야 하며, 명절에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밥은 쌀로만 만들어 그릇에 담고 뚜껑을 덮는다. 국은 고기를 끓인 육수에 야채를 넣어 간을 약하게 한 것으로, 거의 모든 소고기뭇국을 사용하며 뚜껑을 덮어둔다. 숭늉을 올릴 때는 밥알 몇 개를 물에 푼다. 밥 외에도 떡이나 국수를 추가할 때 쌀가루에 콩이나 팥을 섞은 것으로 시루떡을 주로 사용하며,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씁니다.

제사에 올리는 술은 도수가 낮은 맑은 술을 쓰는데 주로 청주를 사용합니다. 소주를 올리기도 하며 식혜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반서갱동밥메은 서쪽왼쪽에, 국갱은 동쪽오른쪽에 두는데 이는 산 사람의 위치와 반대입니다. 그리고 술은 밥과 국 사이에 진설합니다. 떡은 오른쪽 끝에, 국수는 건더기만 담아서 왼쪽 끝에 놓는다.

진설 규칙
진설 규칙

진설 규칙

좌서우동신위를 모신 곳이 어느 쪽이든 영위를 모시는 쪽이 북쪽이 되고, 영위를 향해 우측이 동쪽, 왼쪽이 서쪽입니다. 고비합설내외분일 경우 남자 조상과 여자 조상을 함께 차린다. 이서위상신위를 향해서 좌측을 높은 자리로 보며, 지방을 붙일 때 고위를 서쪽에 붙인다. 고서비동서쪽에 아버지 신위를 모시고, 동쪽에 어머님 신위를 모신다. 남좌여우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모신다. 시접거중수저가 담긴 그릇을 신위 앞 중앙에 놓는다.

두 분을 모시는 양위 합체 때는 밥메, 국갱, 수저를 각각 2개씩 놓는다. 모든 제수에는 맵거나 짜거나 색색의 향신료고춧가루, 파, 마늘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으로 조리해야 합니다.

갱동반서, 반서갱동국갱은 동쪽에, 밥메은 서쪽에 놓는다.

지방 쓰는 법

현은 존경의 관점에서 지방의 첫 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습니다. 고는 목숨을 잃은 아버지, 비는 목숨을 잃은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더해 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됩니다. 학생은 독특한 관직이 없는 경우를 말하므로 관직에 있던 경우는 관직명을 적을 있습니다. 학생 대신 처사라고도 쓰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나 수사라고 씁니다.

부군은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하며 아랫사람한테는 직접 이름을 씁니다. 여성 쪽은 유인(孺人)이라 쓰고 본관 성씨를 이어 쓰는데 사실 유인(孺人)은 조선시절 외명부의 종9품에 해당하는 명칭이었지만 그냥 벼슬없는 사람들도 함께 이용하는 단어. 가장 대중적으로 쓰는 ”학생부군신위”는 영화 제목으로도 쓰인 적도 있는데, 벼슬하지 못한 보통의 남성을 의미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를 가가례라고 할 정도로 제사를 지내는 방법은 집안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진설 규칙

좌서우동신위를 모신 곳이 어느 쪽이든 영위를 모시는 쪽이 북쪽이 되고, 영위를 향해 우측이 동쪽, 왼쪽이 서쪽입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방 쓰는 법

현은 존경의 관점에서 지방의 첫 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