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날 부침개, 애호박 부추 부침개 만들기, 간편 요리 Tip
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 음식을 제수라고 합니다. 제수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다릅니다. 제수를 제사상에 차리는 것을 진설이라고 하는데, 그것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어느 방법이 옳다고 말하기는 어려워요. 대체적인 제사 음식의 종류와 차리는 방법을 예시로 설명하고자 하니, 참고하여 각기 형편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사 상차림의 예. 제수에는 크게 신위 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제사는 조상을 한 분만 모실 수도 있지만, 두 분 이상을 함께 모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일반적인 상차림에비유하면 개인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것입니다.
넷째 줄에는 삼색나물, 식혜, 젓갈, 김치, 포 등의 밑반찬을 차린다. 삼색나물은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등을 볶거나 데쳐서 만들며 무나물이나 숙주나물을 진설하기도 합니다. 김치는 파, 마늘, 고추 등의 냄새나는 양념을 넣지 않고 담근 나박김치를 사용합니다. 북어포는 밥을 올리지 않는 차례상에서도 거르지 않고 올리는 가장 일반적인 제수입니다. 우리나라 동해의 일반적인 어종인 명태는 머리가 크고 알이 많아 부자가 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북어포 외에도 대구포, 오징어포, 낙지포, 육포 등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생선포는 등을 위로 향하게 놓는다. 젓갈이나 식혜도 필요한 제수 찬으로 식혜는 건더기를 담아내고 간장은 종지에 담는다.
좌포우해, 혜, 진설자를 기준으로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젓갈를 놓는다. 해는 젓갈을 뜻하는데 발음이 식혜의 혜와 비슷하여 식혜로 대체합니다. 포와 식혜 사이에 삼색나물을 차린다.
처음 줄에는 신위 앞에 밥메, 국갱, 숭늉숙수을 진설하고, 잔을 놓는다. 밥, 국, 숭늉, 수저 등은 조상의 수만큼 올려야 하며, 명절에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밥은 쌀로만 만들어 그릇에 담고 뚜껑을 덮는다. 국은 고기를 끓인 육수에 야채를 넣어 간을 약하게 한 것으로, 다소 소고기뭇국을 사용하며 뚜껑을 덮어둔다. 숭늉을 올릴 때는 밥알 몇 개를 물에 푼다. 밥 외에도 떡이나 국수를 추가할 때 쌀가루에 콩이나 팥을 섞은 것으로 시루떡을 주로 사용하며,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씁니다.
제사에 올리는 술은 도수가 낮은 맑은 술을 쓰는데 주로 청주를 사용합니다. 소주를 올리기도 하며 식혜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반서갱동밥메은 서쪽왼쪽에, 국갱은 동쪽오른쪽에 두는데 이는 산 사람의 위치와 반대입니다. 그리고 술은 밥과 국 사이에 진설합니다. 떡은 오른쪽 끝에, 국수는 건더기만 담아서 왼쪽 끝에 놓는다.
애호박 부추 부침개 만들기
부침개는 밀가루 물에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이름이 붙여지는데 애호박과 부추를 함께 넣고 부침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부침개를 제작하기 위해서 재료준비를 먼저 합니다. 재료 애호박, 부추, 양파 41, 부침가루 혹은 밀가루 32컵, 물 100ml를 준비합니다. 먼저 애호박과 양파, 부추를 깔끔하게 씻어 물기를 빼고 준비해 줍니다. 물기를 뺀 채소를 너무 굵지 않도록 적절하게 채 썰어 준비해 둡니다.
그리고 쌀쌀한 물 100ml에 밀가루 혹은 부침가루를 넣고 가루가 뭉치지 않도록 골고루 잘 저어 줍니다. 다음 채 썰어 준비해 둔 야채를 밀가루 반죽에 넣고 다시 골고루 섞어줍니다. 야채들이 짓눌리지 않도록 살살 버무려 줍니다. 이때 반죽물이 너무 되지 않아야 부침개를 부쳤을 때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식감의 부침개가 됩니다. 반죽과 야채를 섞어줄 대 너무 되직합니다. 싶으면 물을 조금 더 넣어 반죽물이 조금 묽다.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들
차례상에 올려서는 안 되는 음식은 복숭아, 붉은팥, 붉은 조미료 등 있어요. 모두 귀신을 쫓거나 음친한 기운을 쫓는 음식이라고 보고된 것들이죠. 죽은 조상을 기리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 금지해야 합니다. 사실 최근들어 추석차례상에 전이나 부침개 등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많이 올릴 필요가 없습니다.는 이야기도 많이 나오고 있어요. 기본음식도 많아야 아홉가지면 충분하다고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에서도 발표했다고 하네요. 명절음식준지배율 가장 많은 시간과 공을 들이는 전과 튀김음식. 예법을 따르는 것도 좋지만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비례하지는 않을것같다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